본문 바로가기

Real Estate

바닥찍고 상승세인 2025년 주택시장 전망

25년 주택시장에 대한 전망이 하나씩 나오고 있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시장에 대한 Data와 자체 모델을 기반으로 24년 리뷰와 25년 시장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그중 핵심메시지만 압축적으로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탄핵정국에서의 시장 영향분석 내용까지 공유해 보겠습니다


 

 2024년 Review

 

(매매가)  24년 6월부터 상승전환, 24년 하반기 내내 상승 추이

▷ 디커플링현상 : 수도권 상승 vs. 지방 하락 지속

3년째, 광역시 하락폭이 더큼

 

(공급) 건축인허가물량 감소로 2~3년 내 공급문제 발생 불가피   

 인허가 감소 △19.1% 

 착공 21.8만호, 분양 18.2만 호, 준공 36.2만 호

(수요) 매매심리 위축 지속  

  24년 거래건수 63만 건 (정상거래시기 90만 건)


 

 25년 거시경제

 

(경제성장률) 1.9% ~ 2.1% 대 낮은상태 예상  

  고환율, 고물가, 내수경제악화로 소비위칙 우려 高

(금리) 미국 3.4% , 한국 2.5% 예상  

 

 25년 매매시장

 

(매매가) 공급부족으로 가격상승압력 高  

  수요 대비 공급 부족 누적되고 있는 상태

(시장영향요인) 집값상승 요인 더 큼  

👎 경제성장율 하락, 탄핵, 경기침체, 강력한 대출규제

👍 금리하락, 주택시장 진입인구 증가, 공급부족 누적

주택시장영향요인

 

(거래량) 24년과 유사 수준  

 24년 수준(62.7만 건)과 유사한 수준 예상  *정상거래시기(90만 건)의 70% 수준

 

 25년 전월세시장

 

(수요) 상승 지속 : 30세 도달인구 75만 명 이상  

 30세 도달인구 : 18~21년 67만 명 → 23년 이후 75만 명

(공급) 하락 :  아파트 입주물량 27% 감소  

 25년 입주물량 26.6만 호 : 전년비 10만 호 감소, 최근 10년 대비 75% 수준

경기지역 전월세 가격 상승압력 高 : 입주물량 42%↓

(전세가) 23년 3월 저점 이후 상승추세 지속, 상승국면의 고점에 근접  

내년 초까지는 상승세 유지하나, 이후에는 상승폭 조정

(월세가) 23년 7월 저점 이후 상승추세, 향후 입주물량 부족으로 상승세 유지 전망  

 

 공급

 

브릿지론과 PF는 조달금리 상승으로 사업착수가 불가한 상태  

 

건축인허가는 24년 대비 하락 전망되어,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 심화  

▷ 24년 35만 호 → 25년 33만 호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45만 호 공급이 필요하나 부족한 상황, 23년~27년까지 50만 호 부족 예상

 

 탄핵과 시장과의 상관관계?

 

박근혜 · 노무현 대통령 매매가와 거래량 참고 시, 영향 無  

  박근혜 대통령 당시는 일부 영향이 있었으나 3개월 이후 모두 회복

노무현 대통령 탄핵 시에는 영향이 없없으며

 

 최근 5년간 핵심 factor

 

 


위 내용을 정리해 보자면,

2025년 주택시장은 경기침체 및 탄핵정국에도 불구하고,

누적된 공급부족으로 소폭 상승세 예상

 

※ 전체 보고서는 아래 파일로 보시면 됩니다

주산연_2025년 주택시장전망_보고서.pdf
4.31MB
주산연_2025년 주택시장전망_보도자료.pdf
1.09MB